본문 바로가기
News/전력계통

청정 발전의 성과, IGCC의 발전과 도전

by R.E.F. 24기 박선혜 2024. 11. 26.

청정 발전의 성과, IGCC의 발전과 도전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4기 박선혜
 

석탄 화력의 단점을 보완한 기술, IGCC

서부발전소의 태안 IGCC 발전소가 준공된 지 어 8년이 지났다. IGCC는 석탄 가스화 복합화력발전소의 줄임말로 석탄을 고온, 고압에서 가스화시켜 연료로 사용하는 청정석탄 화력 발전 기술이다. IGCC 발전 기술은 합성가스를 생산한 후 연소하기 전에 공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석탄 화력의 주 오염물질인 황산화물과 같은 먼지를 천연가스로 만들 수 있다. 또한 한국전력기술의 공식 홈페이지에 따르면 IGCC는 석탄 발전에 비해 높은 발전효율을 가지고 있고, 직접적인 연소 발전에 대해서는 산화율 90% 이상, 질소산화물 75% 이상, 이산화탄소 25%의 저감이 가능하다. IGCC가 CO₂ 포집 설비와 연계될  기존 발전설비보다 훨씬 적은 비용으로 온실가스를 포집할 수 있다. 서부발전의 IGCC 발전소는 국내 최초의 상업용 IGCC 플랜트로, 석탄을 가스화해 전력을 생산하는 친환경 발전소로 평가받고 있다. 관계자에 따르면 국내 최초로 정부 연구관 제로 추진되었던 사업이고 특성상 건설 및 시운전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고 토로하였다.

[자료 1. 서부발전소의 IGCC 발전소]

출처 : 네이버뉴스

 
IGCC가 정확히 무엇일까?

전통적인 석탄 발전은 미세하게 분쇄된 석탄을 보일러에서 연소시켜 고온의 증기를 발생시키고, 이 증기가 증기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한다. 반면, IGCC는 석탄을 가스화하여 얻은 합성가스를 가스터빈에서 연소하여 1차 전력을 생산한다. 그다음으로 가스터빈의 뜨거운 배기가스를 배열회수 보일러로 보내 추가로 고온의 증기를 생성하고, 이 증기가 증기터빈을 구동하여 2차 전력을 생산한다. 더욱이 IGCC는 가스화기에서 나오는 황화수소(H2S)와 같은 산성가스를 제거해야 하는데 산가스제거장치를 통해 이를 제거할 수 있다. 가스터빈에서 방출되는 배기가스의 열로 터빈을 한 번 더 돌린다는 점에서 친환경과 경제성 면에서도 이득인 부분이다.

[자료 2. IGCC 개요도]

출처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IGCC 기술과 기존 화력발전소의 구체적인 차이점은 무엇일까? 가장 먼저, 석탄 미세 먼지의 근원인 재와 같은 성분 70%를 가스화 단계에서 슬래깅 상태로 배출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슬래깅은 석탄이나 금속을 연소할 때 재가 녹아 붙는 현상을 뜻한다. 또한 합성가스와 함께 배출되는 30%의 재는 필터 혹은 스크러버 기술을 통해서 전처리 적으로 완벽한 제거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몇 겹의 필터링 방식은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고 한다. 실제로 다양한 발전원들에 비해 IGCC의 배출 수준이 매우 우수하다는 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두 번째로는 앞서 언급했던 고효율 발전이다. 복합발전의 효율은 가스 효율과 비례다. 서부발전의 IGCC 효율은 42%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가스터빈의 등급에 따라 최대 57% 효이 발생할 수 있을뿐더러 고체산화물 연료전지까지 붙게 된다면 60%까지 효율을 끌어올릴 수 있다. 또한 IGCC는 CCS와 CCU 기술과의 연계가 용이하다. 합성가스는 정제공정을 거칠 때 이산화탄소를 쉽게 포집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므 이산화탄소 포집에 대한 잠재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무고장 연속기록 이어가던 서부발전, 발전설비 가동중단하기도

2020년 기준 태안 IGCC 발전소는 3천 시간 연속 무고장이라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IGCC는 가스화기, 가스정제설비, 복합설비, 산소 설비 등 발전 및 화학 설비가 연결되어 있어 유지, 보수에 민감하다. '3천 시간 무고장 연속운전'이라는 타이틀을 가질 수 있었던 데에는  IGCC의 고장사례와 해외 선행 플랜트 운영 사례를 면밀히 분석해 가스화기 내화재를 국산화하는 등 총 240건의 설비개선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2021년 태안 IGCC에서 폭발음과 함께 화재가 발생한 바 있었다. 당일은 평일보다 전력수요가 적은 주말이었는데, 태안 2, 4, 6호기가 정지 중인 상황에 발생했다. 당시 발생했던 화재로 인해 380MW 규모 발전설비 운영을 잠시 중단한 바 있다. 이렇듯 고장사례와 선행 플랜트 운영 경험을 통해 설비의 신뢰도를 높였지만, 여전히 유지 보수의 중요성은 강조된다. 앞으로 더 고도화된 기술력과 안정적인 보수 관리로 효율적인 전력 생산이 원활히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IGCC에 대한 기사 더 알아보기
1. "IGCC 발전, 한국의 에너지를 발전하다", 11기 최혜선, https://renewableenergyfollowers.tistory.com/2388

 

IGCC 발전, 한국의 에너지를 발전하다

IGCC 발전, 한국의 에너지를 발전하다 왜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석탄화력발전소를 문제 삼고 신재생에너지를 외칠까? 그것은 바로 석탄화력발전소에서 배출 되는 대기 오염 물질이 문제이기 때

renewableenergyfollowers.org

2. "[ENTECH 후기] 한국남부발전, 한국남동발전, 한국서부발전", 18기 김민주 서현영 19기 권승호 김아현, https://renewableenergyfollowers.tistory.com/3486

 

[ENTECH 후기] 한국남부발전, 한국남동발전, 한국서부발전

대한민국의 전력생산을 책임지는 대표 발전 공기업 남부, 남동, 서부발전을 ENTECH에서 바라보다! 18기 김민주 서현영 19기 권승호 김아현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목표로 대한민국 이곳저곳에서 전

renewableenergyfollowers.org


참고문헌

[석탄 화력의 단점을 보완한 기술, IGCC]

1) 김병욱 기자,  "[5월 특집] 한국형 IGCC, 끝이 없다", 투데이에너지, 2017.05.10, https://www.todayenergy.kr/news/articleView.html?idxno=123371

2) 한국전력기술, "IGCC", https://www.kepco-enc.com/menu.es?mid=a10303030200

[IGCC가 정확히 무엇일까?]

1) 서동균 청정발전연구소/선임연구원, "친환경 석탄이용을 위한 가스화복합발전(IGCC) 기술",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1831960579656.pdf

[무고장 연속기록 이어가던 서부발전, 발전설비 가동 중단하기도]

1) 윤기창 기자, "서부발전, 태안IGCC ‘무고장 연속운전’ 세계기록 경신", 금강일보, 2021.01.31, https://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825289

2) 이상복 기자, "태안IGCC서 폭발·화재…380MW 발전설비 가동중단", 이투뉴스, 2023.01.08, https://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4969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