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수소-바이오107

수소에너지, 새로운 희망? 새로운 대체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는 수소에너지! 연소시에 극소량의 질소와 물만 생성되고 공해물질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청정에너지로 주목을 많이 받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수소에너지에 대한 기술개발도 중요하지만 경제성, 관련 법제 등에 대한 다층적 분석이 필요한 시기이다. 수소는 우주 질량의 75%를 차지하고, 사용한 후에는 물로 재생될 수 있기 때문에 무한한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왜 아직까지는 가격이 비쌀까? 수소연료의 평균 공급가격은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1㎏당 평균가격은 6000~8000원선이다. 휘발유보다는 저렴하지만 경유보다는 조금 비싼 수준이다. 수소는 자연계에 순수한 원소 형태로 존재하지 않고 다양한 분자와 물질과 결합된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연료전지에 필요한 순수한 수소를 생.. 2018. 10. 19.
떠오르는 바이오에너지, '바이오중유' [사진1. 바이오중유] 출처 : 애경유화(주) 2017년 1월 4일, 경기 평택해양경찰은 폐식용유를 정제하다가 남은 폐기물(유지 잔재물) 약 1만 7530L를 배수구에 버린 6명을 입건하였다. 이들의 범행으로 기름띠가 바다로 유입되면서 평택시가 3360만원의 방제비용을 들여 오염물질을 걷어내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또한 자원순환사회연대는 국내 가정과 음식점에서 연간 54만t의 식용유를 사용하며 이 중 27만t이 폐식용유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폐식용유를 배출하는 가정은 전체의 약 70%, 하수구로 바로 버리는 가정은 약 15%를 차지하는데 이러한 폐식용유를 정화하려면 20만 배에 달하는 정상 수질의 물이 필요하다고 한다. 이렇듯 음식점 및 가정에서 배출되는 기름 등은 현재 대부분 버려지고 있어 .. 2018. 10. 19.
Bio-material vol 3. Potential of Bio-Energy Bio-material vol 3. Potential of Bio-Energy 1. Advantage & Disadvantage of Renewable-Energy 현재 에너지 시장에서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아직 미미하다. 신재생에너지 기술과 의존도가 높은 화력 발전, 원자력 발전을 비교하면 저마다 장단점을 가진다. 본 기사에서는 신재생에너지 기술 전반에 걸친 장단점과 기술 별 장단점을 알아보고, 바이오 에너지만이 가진 장점의 가치를 판단하여 단점의 극복 가능성을 분석하였다.[그래프 1. Estimated Renewable Energy share of Total Final Energy Consumption, 2016 출처 : See endnote1.1. 신재생에너지 전반적인 장단점 장점 단점 원.. 2018. 10. 19.
하수찌꺼기가 쓰레기가 아니라고요? 하수찌꺼기가 쓰레기가 아니라고요? [사진 1. clean water] 출처: pexels 우리가 사용하는 물은 복잡한 과정을 거쳐 처리된 후 안전한 상태로 우리에게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각종 오염물질은 하수찌꺼기, 또는 하수슬러지라 불리는 폐기물(우리나라에서 분류)의 형태로 분리되어 배출된다. 이렇게 생성된 하수슬러지들은 과거 대부분 해양에 투기하는 방식으로 처리되었다. 하지만 런던협약에서 하수슬러지 육상처리가 의무화되면서 하수슬러지의 새로운 처리 방법들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소각, 매립과 같은 일반적인 폐기물 처리방법과, 비료화, 그리고 최근에는 재생에너지 자원으로서 새로운 변신이 시작되고 있다. 하수슬러지는 각종 오염물질과 미생물 등 유기물질이 풍부하기 때문에 바이오매스의 한 종류로 볼 수 있다. .. 2018. 7. 11.
Bio-resource tech vol.1 <바이오매스; biomass> Bio-resource tech vol.1 [그림 1_ 다양한 biomass의 경로] ■ 사전적 정의 화학적 에너지로 사용 가능한 식물, 동물, 미생물 등의 생물체, 즉 바이오 에너지의 에너지원을 의미하며, 생태학적으로 단위 시간 및 공간 내에 존재하는 특정 생물체의 중량 또는 에너지량을 의미하기도 한다. # 다시 말해, 생물체 자체 혹은 생물체에서 비롯한 모든 자원을 뜻한다. 바이오매스는 친환경성 및 활용성 측면에서 화석연료를 대체할 자원으로써 가치가 높다. 1st 생산자(ex.식물체)가 광합성을 통하여 무생물적 환경(abiotic environment)에1서 생물계(biome)로 탄소를 유입 시키고, 소비자(ex.동물체)와 분해자(ex.미생물)에 의하여 다시 무생물적 환경으로 탄소가 순환하는 과정에 .. 2018. 7. 11.
폐기물, 자원일까 쓰레기일까? 폐기물, 자원일까 쓰레기일까? 중국의 폐기물 수입규제 정책에 따라, 말 그대로 ‘폐기물 대란’이 벌어졌었다. 환경부의 임시방편으로 일시적으로 재활용 수거를 재개하고 있지만, 업계의 입장은 긍정적이지 않다. 중국으로 수입되어서 폐자원으로 요긴하게 이용되던 폐비닐들이 가격하락에 따라 쓰레기로 전락되어 버린 것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폐기물에너지이다. 2016년 기준으로 전체 신재생에너지원 중에서 폐기물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56%이다. 또한 쓰레기매립지와 관련한 대립도 격화되는 상황에서 페기물이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신재생에너지원으로 요긴하게 사용되고 있는 폐기물에너지의 종류를 알아보자. 먼저 폐기물은 크게 불에 잘 타는.. 2018. 4. 15.
수소저장합금이 수소 경제 시대를 앞당길까? 수소저장합금이 수소 경제 시대를 앞당길까? 흔들리는 국제 유가, 그리고 동시에 흔들리는 세계의 경제. 이러한 상황 속에 세계 각국이 해결책으로서 ‘수소에너지’에 주목하고 있다. 수소는 물을 통해 얻을 수 있어 어느 곳에서나 쉽게 얻을 수 있는 평등한 자원이며, 공기 중에 산소와 결합하면서 연소하여 물로 변화하기 때문에 공해 물질을 거의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 에너지에 속한다. 또한 연료전지 등을 통해 쉽게 전기로 환원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에너지로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수소를 저장하는 다양한 방법 수소는 넓은 연소한계와 미소한 착화에너지 그리고 매우 빠른 연소속도로 인한 높은 폭발위험성 때문에 저장 및 수송 기술이 필수적이다. 현재까지는 기체 상태로 압력을 주어 탱.. 2018. 3. 17.
대한민국의 기술력 바이오에너지 대한민국의 기술력 바이오에너지 사람들은 신재생에너지라는 단어를 생각하면 태양광 에너지 태양열에너지 풍력에너지 지열에너지를 바로 생각해 내는 반면 바이오 에너지에 대해서 바로 생각해내지 못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바이오 에너지에서 뛰어난 부분들이 아주 많은 걸로 알고 있다. 지금부터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자. 바이오 에너지란 농업 부산물 산업체 부산물 유기성 폐기물 등 바이오 매스로부터 생산 가능한 에너지를 뜻한다. 또한 바이오매스는 생물자원의 집합으로서 버드나무 아카시와 같은 나무를 사탕수수 고구마 옥수수 등의 초복 식물 수생식물 해조류 광합성세균 등을 뜻하는 단어이다. 고체 액체 기체와 같이 많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에너지이지만 이번에 소개하고자 하는 에너지는 액체 상태인 바이오 에너지로 분류할수.. 2018. 3.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