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631 [한난원정대]한난원정대 발대식 - 드디어 시작이다!_1112팀 [한난원정대] 한난원정대 란? 한국지역난방공사에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일로여행 원정대를 꾸림. 한난원정대 팀들은 각각의 특색을 가지고 여행을 하게되며, 한국지역난방공사를 널리 알리는 역할을 한다. 2012년 6월 27일 수요일. 11학번 박진우는 한국 태양광 컨퍼런스에서 한난원정대 합격소식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었죠. 3시 발표를 앞두고 심장이 뚝흔뚝흔… 3시 5분 경과… -> 아직 페이스북 동태를 살피니 아직 발표가 나지 않았군! 3시 10분… -> 헐… 뭔가 하나 둘 발표가 나는 느낌인데… 난 전화가 안올까? 뚝흔뚝흔... 3시 15분… -> 으악 멘붕이다!! 열심히 준비했는데 꼭 하고 싶었는데 아직 모자란 것이 였을까? 3시 20분… -> 흑흑… 충분히 10팀모두 전화하고 남았을 거라 예상된다. ㅜㅜ.. 2012. 7. 1. 2012.6.26 한국 태양광 컨퍼런스 다녀오기! 12년 6월 26일, 한국 태양광 컨퍼런스를 참여하기 위해 아침 일찍 일어나서 가는 방법을 체크하고 출발! (한국과학기술회관은 강남역 12번 출구에서 쭉 가다 던킨도너츠에서 왼쪽으로 휙 돌아 쭉!) 지도에서 그냥 665m걷기... 그냥 슬슬가면 되는 거리구나.. 라고 생각을 하면서 걸어가는데! 이거 왠걸 언덕이구나! (지도에서 꺽이는 부분부터 계속 언덕입니다.ㅋㅋ 정면에는 국기원이 보이구요~) 안그래도 부천에서 가려면 공포의 2호선을 타거나 아니면 3번이나 갈아타는 방법이 있어요. 2가지 방법 모두 힘든 방법! 흑흑... 출근시간과 사람들의 땀냄새에 쩔은 상태에서 언덕을 지나 도착이라니 하하하 자리에 앉자마자 기절할 듯한 기세였습니다. 그 러 나 곧 저는 재미있는 태양광이야기에 빠저들었죠~^^ 지헌이 누.. 2012. 6. 27. [맥킨지 태양광산업 전망보고서]_”태양이 떠오르기 전, 그 가장 어두운 순간(Solar Power: Darkest Before Dawn)” 본 자료는 세계적인 경영컨설팅사인 맥킨지(McKinsey&Company)에서 2012년 4월 발간한 보고서(원문 보기)의 번역본입니다. 원문: Solar power: Darkest before dawn, 원저자: Krister Aanesen, Stefan Heck, Dickon Pinner. 본 기사 pdf 파일 다운로드 태양광 산업: 태양이 떠오르기 전, 그 가장 어두운 순간 태양에너지 산업의 앞날이 어둡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아마도 놀랄 것이며, 미래를 위해 충실히 준비해 온 기업들은 다가 올 밝은 미래에 고지를 점하게 될 것이다.” 10년이 채 안 되는 기간 동안, 태양광산업은 독일을 중심으로 하는 작은 산업에서 116조3천억원(미화 1000억 달러)규모의 세계적인 산업으로 성장했다. 이런 성장은 .. 2012. 6. 16. [한난원정대 모집공고] 한국지역난방공사와 떠나는 국내여행♥ 한국지역난방공사에서 한난원정대를 모집하네요! 기자단 내에서도 제가 지원합니다!! 관심있으신분은 지원하세요! [한난원정대 모집공고] 한국지역난방공사와 떠나는 국내여행♥ 1. 모집대상 ㅇ만 19세~25세 이하 모험을 사랑하는 대학(원)생 남녀 ※ 우대사항 : 스마트폰 사용자 / 개별 블로그 및 SNS운영자 / 수도권 거주자 2. 모집인원 ㅇ총 10팀 선발(2인 1팀 지원) 3. 활동기간 ㅇ2012. 7. 1 ~ 31 (제출한 여행 계획서를 통한 팀별 여행 1주일 포함) 4. 활동내용 ㅇ한국지역난방공사 지사 1곳 방문 포스팅 ㅇ‘내일로’를 통한 여행 일지 포스팅 작성 및 하단에 한국지역난방공사 배너 필수 게재 ㅇ참여자 블로그 및 페이스북 內 한국지역난방공사 배너 게재 ㅇ돌발 미션 수행 5. 지원방법 ㅇ 지원서.. 2012. 6. 15. [신입기수 모집] 대학생 태양에너지 기자단 4기 모집 공고문 자세한 일정 및 공지는 이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게시할 것입니다~!! 지원자 여러분 자주 보고 확인해 주세요!!! (지원서에 기사쓰는 부분이 어려운 부분이 있는 것 같아 수정했습니다.) 다운!! 2012. 6. 8. 제로 에너지 하우스의 개념과 필요성 제로 에너지 하우스의 개념 2000년대 초반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웰빙, 친환경 건축물 역시 그러한 트랜드에 발맞춰 유행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많은 건설 회사들이 친환경 건축물과 더불어 제로 에너지 하우스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제로 에너지 하우스......???? “제로 에너지 하우스”라는 말을 들으면, 굉장히 좋은 것처럼 느껴집니다. 다시 한 번 읽겠습니다. "Zero-energy House~“ 아~! 역시 좋은 것 같습니다. 여러분의 머릿속에는 어떠한 집이 떠오르셨나요? 저는 몇 년 전 TV에서 본 아래의 건축물이 떠올랐습니다. 5 4 3 2 1 짠! 멋진 집이지만 많은 분은 이렇게 생각하실 겁니다. ‘이게 제로 에너지 하우스란 말이야?’ 단순히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집을 생각했기 때문입.. 2012. 5. 21. 유기태양전지 전격 해부하기 - 실험편(1) ; active layer 제작!! 이 번 기사는 앞서 배웠던 이론을 토대로 고분자 유기태양전지의 active layer를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막연히 글만 읽고 알기란 어려운 내용이므로 직접 실험을 통해 알아봅시다. 자, 그럼 출발~. ^^ * 더 좋은 효율을 위해서,,!! 엑시톤의 이동거리 한계로 active layer를 이중층 구조(bi-layer) 대신 헤테로 구조(bulk-heterojunction layer)로 만들어야 합니다. 이 때, 도너재료와 억셉터재료를 유기 용매에 녹여 섞은 후 '흔들흔들~~' 블랜드 시켜주죠. 그럼 최적의 active layer 재료는 무엇이었죠? 이 것은 마치, 여러가지 맛 중 맛난 아이스크림 맛 두 가지를 고르듯, 다양한 material 중 최적의 효율을 보이는 두 개를 고르면 됩니다. 답은, .. 2012. 5. 20. 유기태양전지 전격 해부하기 - 용매편 * 어떻게 active layer를 만드나...? - 유기용매에 유기물질을 녹임으로써 가능하다. 최근 많이 쓰이는 Active layer 조합으로 P3HT와 PCBM이 있습니다. 현 최적의 효율을 내는 조합으로 알려져 있는데, 어떻게 두 유기 재료로 태양전지를 만들까요? 바로, 앞서 살펴본 것처럼 도너와 억셉터로 쓰일 수 있는 재료 하나씩 골라 붙여서 나란히 두개의 층으로 만들면 됩니다. 각 유기 재료마다 자기 자신이 녹을 수 있는 용매가 다른데, 그렇게 녹일 수 있는 용매에 유기 재료를 녹여서 두 층으로 만들면 되죠.(끼리끼리 녹인다는 말있죠!). 즉, 한 층을 만든 후, 그 위에 다른 층을 만듦으로써 bi-layer구조의 active layer층을 만들 수 있죠. 그리고 필요없는 용매는 구워서 날려버.. 2012. 5. 20. 이전 1 ··· 302 303 304 305 306 307 308 ··· 3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