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631

태양열 온풍기 사회적 기업가 여예원씨 in TEDxKAIST Change 2012년 4월 14일 TEDxKAIST Change가 대전 KAIST에서 진행되었다. 이번 TEDxKAIST Change는 ‘빅픽쳐’라는 테마 아래 '왜 우리는 계속해서 세계적 보건과 개발에 투자를 해야 할까요?' 라는 주제로 진행되었고, 이창호, 이동근, 여예원 연사님께서 사회적인 지원의 진정한 의미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기술과 사랑은 나눌수록 행복해진다는 믿음을 뜨거운 가슴에 품은 재무 책임자” 태양열 온풍기로 사회적 기업인 (주)섬광의 CFO인 여예원씨는 이번 TEDxKAIST Change에 참석하여, 자신만의 가치와 아이디어를 공유했다. 이번 강연에서, 자신이 어떻게 적정기술을 시작했는지, 공학도로써 적정기술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 섬광의 태양열 온풍기라는 아이디어가 나오게 된 계기에 .. 2012. 4. 19.
KIRAN - 저개발국의 빛을 밝히는 태양광 랜턴 착한아이 KIRAN 석유, 원자력과 같이 현 환경에 악영향을 끼쳐온 에너지원의 대안책으로 나온 것이 착한아이 신재생에너지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리 녹녹치 않다. 세상이 많이 변하여 너무 착한아이들은 바보 소리를 들으며, 그들의 부모들은 자신의 아이가 너무 착하게 자라기보다는 똑똑하고 수완이 좋은 아이가 되기를 바란다. 착한아이가 계속해서 착하게 자라기란 너무나도 어려운 환경이다. 선진국 내에서 신재생에너지의 입장 또한 마찬가지인 것 같다. 착한아이 신재생에너지는 기업의 사업수단이 되었고 나쁜 아이 석유, 원자력과 같은 에너지원과의 경쟁 속에서 살아남아야만 한다. 이 과정에서 본래의 착한 마음씨는 퇴색 되어만 간다. 하지만 세상에는 항상 예외란 것이 있는 법이며 세상에 굴하지 않는 독특한 놈이 존재하는 법.. 2012. 4. 13.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긴급취재] SIEMENS 신재생에너지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SIEMENS 신재생에너지 중에서도 특히, 태양광산업의 핵심기술로 폴리실리콘 제조공정 기법중의 지멘스(SIEMENS)공정기법을 일례로 들 수 있습니다. 1950년대 지멘스에 의해 개발된 지멘스 공법은 전세계적으로 약 90%가 사용하는 전통적인 방식이라고 합니다.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태양에너지 산업에 관해 지멘스사의 역사는 생각보다 오래되었습니다. 실리콘형 태양전지 생산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잉곳을 만들어내는폴리실리콘 실리콘 제조공정기술 특허로 관련 산업을 시작하였고,1990년대부터 인버터 제조를 시작했습니다. 최근에는 안타깝게도 태양전지 모듈제조분야를 매각하였다고 합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는 태양열, 태양광, 풍력에 주력하고 있다고 합니.. 2012. 4. 5.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긴급취재 ] KD power 태양광발전 고효율 종합 솔루션을 꿈꾸는 KD power! KD power의 대표적인 태양광 제품은 한국형 IT태양광 시스템과 GPS로봇 태양광입니다. 한국형 IT태양광 시스템이란 인버터의 상황을 바로 확인 할 수 있는 모니터링시킨것을 말하는데요, 이뿐만 아니라 전력, 계측장비, 접속반, 기상, 전압,전류,전력,발전유지율,발전효율 등의 대한 스트링 별로 실시간 모니터링 하여 인버터장치에 부착된 모니터와 전체적인 흐름을 볼 수 있는 화면을 통해 제품을 품질을 보증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런 모니터링 결과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운전상황을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M to M 서비스로 이어져 편리함을 더하고 있습니다. 모니터링에서 좀 더 차별화된 점은 설치한 태양광 주변에 CCTV를 부착하는 것이였.. 2012. 3. 30.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긴급취재] Hansol BIPV! Hansol에서 볼 수 있구나! 한솔에서는 OCi에서 polysilicon을 가지고 Ingot과 Wafer를 만들고 있습니다. 이때, saw 방식은 Diamond wire saw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Hansole 태양광 모듈은 소비자가 외관상으로 더 보기 좋은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Silver형과 Black형이 있으며, 건물일체형이라고 하는 BIPV도 있습니다. BIPV의 효율은 기존의 것보다 떨어질 수 있으나 디자인측면이나 공간을 많이 확보할 수 있어 소비자의 선택이 많아지고 있다고 합니다. Inverter는 전력사용량에 따라 다양한 제품을 가지고 있으며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요즘에는 스마트폰으로도 확인가능 하다고 하네요. 정은기자님이 말한 BIPV를 실제로 볼 수있는 좋은기회였습니다. S.. 2012. 3. 30.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긴급취재] IK corporation 지붕파형까지 고려한 IK corporation!! IK corparation에서는 모듈을 만들고 설치까지 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가 개발한 태양광모듈은 바로 설치할 수 있는 태양광 일체형 패널입니다. 깔끔한 결합방식으로 더 견고하게 결합되어 우레탄의 단열성능으로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때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하는데 철판사이 중간에 단열성능이 강한 우레탄을 넣는데, 우레탄은 단열성능도 강하지만 난연성물질이라 불에도 잘 타지 않아 좋다고 합니다. 세계최초로 볼트리스 방식으로 확실한 누수방지가 되며 중복공사 방지에 따라 비용절감 효과를 내고 있는데, 볼트리스 방식이란, 기존 일본지붕은 1m씩 겹쳐 고정하는데, 이때 접합부를 볼트를 이용하긴 하지만 이 부분에서 누수가 생길 수 있으며, 또한 plas.. 2012. 3. 30.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긴급취재] 대성그룹 태양열과 태양광을 동시에! 온수를 위한 기존 태양열은 가라! 전기생산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고 있는 대성그룹! 태양열의 발전 기술을 아직까지 기술 개발 중에 있습니다. 반사경 450개을 가지고 태양의 열을 집광한 후(1000도이상), 스팀터빈과 보일러를 통해 전기를 만들고 있습니다. 대성그룹이 기존 태양열과 다른 점은 온수 뿐만 아니라 '전기생산'을 궁극적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를 위해 현재 대성그룹에서는 반사경의 반사효율이을 98%로 하고 있는데 그 이상으로 높이기 위한 노력에 있다고 합니다. 대성그룹은 태양광사업도 참여하고 있는데요 몽골 몰란바타르 인근에 태양광과 풍력을 이용한 단지를 만들었습니다. 여기서 중심이 되는 것도 태양광인데, 태양광을 이용해 전기공급뿐만 아니라 지하수를 pumping.. 2012. 3. 30.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긴급취재 ] Woongjin energy 모듈 원자재가 되는 Poly silicon를 만드는 Woongjin energy! 다소 순도가 떨어지는 MG-Si에 HCl 을 첨가시켜 TCS가스가 나오게 됩니다. 이때 이것을 정제한 후 증착시키는 과정을 거쳐 순도 높은 Poly silicon을 만들고 있습니다. 이때 만들어진 다결정체를 히터가 들어있는 석영도가니에 Poly silicon을 넣고 녹여 단결정 실리콘으로 만드는데 이것은 Ingot 이라고 부르며, 웅진의 현재 capacity는 1GW입니다. Woongjin energy에서는 국내최초로 다이아몬드 sawing을 개발하여 Wafer까지 만든다고 합니다. 이런 제품은 미국에 있는 Sun power과 장기 기술협력을 맺어 납품하고 있다고 합니다. 대전 대덕벨리에 공장이 위치해 있다고 하니 기회가 .. 2012. 3.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