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339 환경부 장관, 기후위기의 피해자 청년과 환경정의를 논하다. 환경부 장관, 기후위기의 피해자 청년과 환경정의를 논하다. - 2020년 녹색전환과 환경정의 타운홀미팅-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3기 윤지혜, 16기 이서준, 17기 심유진 단원 지난 달 31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는 환경부장관과 청년이 환경정의와 녹색전환에 대해 논의하는 타운홀미팅이 개최되었다. 극심한 기후변화로 인하여 일상생활 속에서도 여러 환경문제에 직면하고 있는 청년들의 고민을 표출하기 위한 장은 턱없이 부족했다. 그렇기에 이번 타운홀미팅은 환경부장관과 미래세대를 대표하는 청년들이 함께 환경문제, 기후변화 문제에 대하여 고민하고 논의할 수 있는 자리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타운홀미팅은 크게 2가지 섹션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조명래 환경부 장관의 ‘녹색전환•환경정의의 정책방향’에 대한 강연이 .. 2020. 2. 24. 에너지기술개발 실행계획안, 변화를 위해 계획부터 차근차근 -2020년 에너지기술개발 키워드- 에너지기술개발 실행계획안, 변화를 위해 계획부터 차근차근 -2020년 에너지기술개발 키워드-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5기 단원 김재환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5기 단원 김혜림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5기 단원 최명근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7기 단원 이유림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7기 단원 백도학 2019년 정부는 제3차 에너지 기본계획(‘19.6.), 제4차 에너지 기술개발계획(’19.12.) 등을 차례로 발표하며 에너지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기술기반 마련에 힘썼다. 지난 1월 20일, 산업부에서 ‘2020년 에너지기술개발 실행계획안’을 발표하며 올해 역시 ‘에너지 전환’이라는 정부의 목표는 크게 바뀌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 계획안은 지난해 에너지 R&D 성과 및 평가, 2020년 에너.. 2020. 2. 24. 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라는 날개를 달다. 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라는 날개를 달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16기 이나영 태양전지(Solar Cell 또는 Photovoltaic Cell)는 신재생에너지의 조상이라고 불러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역사가 꽤 오래되었다. 1839년 프랑스 물리학자 에드몬드 베크렐이 ‘광전효과’를 발견하였고, 이후 아인슈타인이 광전효과를 이론화하였으며, 1880년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꿔주는 태양전지가 개발되었다. 태양전지와 태양광 발전의 차이를 잠깐 설명하자면 태양전지는 태양광을 직접 전기로 변환시키는 태양광 발전의 핵심소자이다. 태양광 발전은 태양에너지를 반도체로 구성된 태양전지를 이용해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을 말한다. 태양전지는 어디에 사용되고 있을까? 라는 질문에 우리는 보통 인공위성 옆에 달려있는 태.. 2020. 1. 27. 나라별 신재생에너지, 잘 진행되고 있는 거 맞죠? 나라별 신재생에너지, 잘 진행되고 있는 거 맞죠?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6기 김지현, 배영은, 변은경, 홍인설 전 세계 200여개국 중 재생에너지 지원 정책을 보유한 국가는 2016년 기준 176개국이다. 대부분의 나라가 투자 규모에 상관없이, 재생에너지로 에너지 전환을 하고자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세계적 신재생 에너지의 발전량 증가] 출처 : http://motioncontrol.co.kr/default/news/?nwsid=n3&uid=8271 특히 최근 신재생에너지의 중심은 개발도상국 쪽으로 빠르게 기울고 있다. 개발도상국의 적극적인 투자로 인하여, 선진국을 능가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특히 중국이 가장 큰 활약을 하고 있다. 중국은 과감한 투자를 함으로써, 세계 태양광 발전 용량의.. 2020. 1. 27. 태양광 발전소 유지보수관리 이젠 “선택 아닌 필수” 태양광 발전소 유지보수관리 이젠 “선택 아닌 필수”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6기 유승현 태양광 발전소가 점점 늘면서 유지보수관리가 중요해지고 있다. 발전소를 지속 가능하게 하는 것도 설치 못지 않게 중요하다. 몇 년 전만 해도 고장으로 인한 부품 교체가 전부였다. 하지만 태양광 산업이 확대되고 발전 효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유지보수관리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태양광 발전소에서 유지보수관리는 필수 태양광 발전 유지보수관리는 태양광 발전소가 최적의 운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운영 및 유지와 관리를 한다. 태양광 발전소는 20년 이상 안정적으로 전력을 생산하고 수익을 내는 장기 사업이다. 설계와 시공을 잘 마무리했더라도 유지보수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효율이 급격히 떨어진다. 모듈 크래킹, .. 2020. 1. 27. 신재생 에너지 효율성 극대화 전략! - 촉매편 신재생 에너지 효율성 극대화 전략! - 촉매편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6기 전예지 전 세계적으로 주요 에너지 소비 원을 화석연료에서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아래 IEA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봐도 알 수 있듯이 2017년 기준 수력, 바이오 에너지, 태양열, 풍력 등을 전부 합쳐도 신재생 에너지의 비율은 25%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1990년 기준 15% 정도에서부터 분명 신재생 에너지의 비율은 증가하고 있긴 하지만, 증가 속도가 왜 이렇게도 더딘 것일까. [공급원 별 일차 에너지 공급량 (생산량)] 출처 : IEA 이는 바로 신재생 에너지로 생산되는 에너지의 효율성이 기존의 다른 에너지원들보다 낮기 때문이다. 이러한 효율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대두되는.. 2020. 1. 27. 슈퍼 그리드(Super Grid)를 통해 다가가는, 한·중·일의 에너지전환은? 슈퍼 그리드(Super Grid)를 통해 다가가는, 한·중·일의 에너지전환은? 14기 변홍균, 15기 나혜인 다가오는 10월 23일부터 사흘간 서울 코엑스에서 세계재생에너지총회가 개최된다. 올해로 8회를 맞이하는 세계 재생에너지총회는 재생에너지 분야 국제 비영리 단체인 REN21과 개최국 정부가 주최하는 국제 재생에너지 컨퍼런스로, 이번 KIREC의 주요 목적은 한국의 경험을 반영한 재생에너지 확산 모델을 전파하여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에너지전환을 선도하는 국가로의 위상을 알리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국은 에너지전환은 2017년 ‘재생에너지 3020’을 바탕으로 원자력, 석탄 화력의 비율을 줄이고 2030년까지 전체 발전량의 20%를 재생에너지로 대체하며 신규 설비용량의 95% 이상을 태양광, 풍력과 .. 2019. 10. 11. 님비를 중심으로 일부 시민들의 재생에너지 반대 문제를 지적하고 우리만의 해결법 제안 님비를 중심으로 일부 시민들의 재생에너지 반대 문제를 지적하고 우리만의 해결법 제안 15기 김민서, 16기 김지현, 16기 이서준 현재 우리나라는 ‘재생에너지 3020 에너지전환 목표’(정부가 2030년까지 재생 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20%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계획)를 달성하고자 한다. 에너지전환은 단순히 기술적인 발전을 통해 나아가야 한다기 보다는 다양한 사회 구성원들이 에너지 소비 및 생산자로서 규범을 내재화하여 정책 과정에 광범위하게 참여하고, 에너지 공공경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과거의 에너지 정책은, 공공성으로 인해 생산, 소비, 관리에 있어 중앙정부의 역할이 중요했다. 에너지의 안정적인 확보는 국가의 안보와 경쟁력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중앙정부의 역할이 부각된 것이다. 그.. 2019. 10. 10.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