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339

제14회 국제환경·에너지산업전(ENTECH 2020), 11월 부산에서 열린다 제14회 국제환경·에너지산업전(ENTECH 2020), 11월 부산에서 열린다 ENTECH 2020, 11월 부산에서 열린다 국제환경·에너지 분야 통합 전문전시회인 ‘제14회 국제환경·에너지산업전(ENTECH 2020)’이 11월 11일부터 11월 13일까지 3일간 부산 벡스코 제1전시장 3홀에서 개최된다. 부산광역시와 국제신문이 공동 주최하고 BEXCO, 투데이에너지,KOTRA가 공동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대한민국 환경•에너지 산업 최고의 비즈니스 장으로 꼽히는 만큼 10개국 270개사 680부스가 참여할 예정이다. [자료 1. ENTECH 2020 공식 포스터] 출처: ENTECH 공식 홈페이지 이번 전시회는 국내 최초, 최대로 개최되는 환경·에너지 분야 통합 전문 전시회로, 전시회가 개최되는 부산은.. 2020. 10. 21.
한전,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발을 담그다. 한전,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발을 담그다. 17기 강하은, 백도학 18기 서현영, 김민주 재생에너지 3020, 한전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으로 이룰까? [자료 1. 현 정부 그린 뉴딜 재생에너지 목표] 출처 : 매일경제 녹색 전환을 위한 정부의 2030년까지 전체 발전량에서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20%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이 2017년부터 태양광, 풍력 등 청정에너지 중심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으로써 추진 중이다. 현 정부의 `탈원전, 탈석탄’ 정책으로 2034년까지 신재생 발전설비 78.1GW(발전설비 비중 40%)를 구축한다는 목표를 가진다. 실제로 2020년 4조 5천억 원에서 2025년까지 11조 3천억 원 사업비를 추진할 예정이나 다만 지금까지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생산으로 보았을 때 더욱 확장.. 2020. 9. 26.
[취재] 대한민국 태양광 산업, 전문가에게 전망을 묻다 대한민국 태양광 산업, 전문가에게 전망을 묻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7기 심우빈, 심유진 올 여름 폭우로 인한 태양광 발전시설 피해, 그 해결책은? 올해 폭우는 역대 한반도를 강타한 장마 중 기록적인 수준을 보였다. 이로 인해 수몰·침수 문제와 토사 유실로 인한 산사태 피해가 곳곳에서 보고되면서, 산지에 설치한 태양광 발전시설의 피해를 막기 위한 방비 및 관련 계획 수정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이렇게 산지에 설치돼있는 태양광 시설은 산사태로 인한 붕괴 위험, 붕괴로 인한 인근 민가 피해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자료1. 폭우에 무너진 태양광 발전시설] 출처: 뉴시스 그러나 폭우로 인한 실제 태양광 시설의 피해는 전체의 1.1%에 불과했다. 따라서 일부 기사들이 폭우로 무너진 태양광 시설을 통해 태양광과.. 2020. 9. 6.
그린뉴딜 수혜기업, 일희일비해선 안된다 그린뉴딜 수혜기업, 일희일비해선 안된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7기 심유진, 18기 이지수, 정동호 그린뉴딜 수혜기업, 그 방향성은? 국내의 온실가스 배출이 계속 증가하고 탄소 중심 산업생태계가 유지되고 있어 경제·사회 구조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경제, 사회의 과감한 녹색 전환을 이루기 위해 탄소중립 사회를 지향점으로 그린뉴딜 추진 계획안을 발표한 바 있다. 에너지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그린뉴딜 사업으로 재생에너지 산업 분야가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 특히 태양광, 수소, 풍력 등 국내 주요 재생에너지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그린뉴딜 사업이 최근 코로나19 사태와 주민 반대로 인한 관련 인프라 확충 난항 등으로 침체된 재생에너지 분야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 2020. 9. 6.
지구가 보낸 경고장, 코로나 19 지구가 보낸 경고장, 코로나 19 16기 변은경, 18기 김채연, 18기 한동근 코로나 19가 세계를 공포에 몰아넣고 있다. 지구촌이라는 말이 무색하게 각 나라를 오가는 길은 끊겼고, 경제는 붕괴되었고, 평범하던 우리의 일상은 더 이상 평범할 수 없게 되었다. 빌 게이츠는 코로나 19로 수백만 명이 더 죽고 내년 말쯤 끝날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까지 내놓았다. 독일 메르켈 총리의 “2차 세계대전 이후 인류 최대의 위기”라는 말도 과언은 아니다. 우리는 이제 코로나 19 대유행 이후의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살고 있다. 왜 우리는 바이러스의 위협 앞에 놓여 기존의 질서를 잃게 되었을까? 제레미 리프킨은 이미 2014년에 바이러스에 관한 섬뜩한 예언을 한 바 있다. 리프킨은 인류의 무절제한 자원 낭비가 이상기후.. 2020. 9. 5.
새로운 한국의 대세 농가태양광 새로운 한국의 대세 농가태양광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단원 14기 윤재성, 15기 나혜인 , 16기 이나영 농가태양광이란? 그린뉴딜, 탈원전, 재생에너지의 확대 등으로 현재 국가적으로, 더 나아가 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 발전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중이다. 하지만 국내에서 재생에너지 설치를 위한 면적 확보가 땅 면적이 작은 만큼 쉽지 않다. 이것에 대한 해결책으로 한국 땅 면적 비중 중 제일 넓은 농경지역에 태양광을 설치하는 방향을 구상하기 시작했다. 이번에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국제 녹색에너지 컨퍼런스에서도 농경 태양광에 대하여 깊이 이야기 나누는 세션들이 마련된 것으로 비추어보아 농경 태양광이 점차 확대되기 위한 움직임이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농경 태양광은 정의에 있어 모호한 점을 줄이기 위해 세부적.. 2020. 8. 31.
Wi-Fi를 넘어 Wi-Power로 Wi-Fi 넘어 Wi-Power로 15기 최명근 [자료 1. 와이파이 신호와 공유기] 출처: ZDnet Korea 현재 우리는 데이터 시대에 살고 있다. 스마트폰이 있어도, 데이터가 없다면 스마트폰을 스마트하게 사용할 수 없다. 하지만 무제한 요금제가 아닌 이상, 데이터를 마음대로 사용할 수 없다. 그래서 우리는 집이나 건물에 들어갈 때마다 항상 와이파이를 찾는다. 이렇게 와이파이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다. 현재 국내 와이파이 공유기 수는 2만 대가 넘고, 음식점과 공공기관 등을 모두 합치면 그 수는 셀 수 없이 많다. 걸어 다니는 곳마다 와이파이가 있다는 말처럼 우리는 와이파이가 만드는 전자파에 둘러싸여 있다. [자료 2. 버려지는 전자파 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한 개념도] 출처: .. 2020. 8. 31.
코로나 방역 성공, 이제는 수소를 통해 코로나 경제 위기를 극복할 시기 코로나 방역 성공, 이제는 수소를 통해 코로나 경제 위기를 극복할 시기 16기 곽준우, 16기 변은경, 17기 이유림 현재 우리나라는 코로나 19에 대한 우수한 방역 관리로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는 코로나 확산 이전부터 검사 키트의 대량 생산 체제를 구축하였다. 더불어 대량 검사가 하루 1만 건 이상 진행되었고, 이는 세계 최고 수준이었다. 또한 확진자 발생 시 발생 장소 즉시 봉쇄부터 방역까지 확진자 방문 장소, 동선을 합법적으로 공유하였다. 115개국에서 정부나 민간채널을 통해 한국에 검사 키트를 요청 중이며, 국가 지역의 전면적인 봉쇄(Lock down)조치 없이 코로나 사태 관리 중인 거의 유일한 나라이다. [자료 1. 코로나바이러스 안전 국가 랭킹] 출처: Deep Knowle.. 2020. 8.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