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친환경112

공원 묘원에 놓인 예쁜 쓰레기 공원 묘원에 놓인 예쁜 쓰레기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곽서영 [공원묘원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 조화 쓰레기] [자료 1. 공원묘원에 있는 플라스틱 조화들] 출처: 오마이뉴스 사회적 거리 두기 이후 처음 맞은 설인 22일 전국적으로 많은 성묘 인파가 몰렸다. 이에 따라 헌화용 꽃 판매도 덩달아 반짝 특수를 누렸는데, 자세히 확인해보니 생화보다 조화의 판매량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생화의 경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시들고, 당일 판매를 못 할 경우 상품 치가 떨어져 손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수월한 조화를 더 선호하는 것이다. 실제로 최근 몇 년 새 성묘에 판매된 헌화용 꽃은 생화보다 조화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1만5천구를 운영하고 있는 용인의 한 추모 공원의 경우 헌화용 꽃의 대부분은 .. 2023. 2. 20.
내연기관의 몰락 내연기관의 몰락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마승준 내연기관의 원리 내연기관은 열기관의 한 종류로서, 연료와 공기 같은 산화제를 연소실 내부에서 연소시켜 에너지를 얻는 기관이다. 가솔린기관과 디젤기관이 우리가 아는 대표적인 내연기관들이다. 이때 연소실 내부에서 연료와 산화제의 반응은 발열반응이고, 반응 시 높은 온도와 압력의 기체가 생성된다. 이 기체를 이용하여 연소실 내부의 피스톤을 움직이게 하여 내연기관을 가동하는 것이다. 좀 더 자세하게 내연기관의 원리를 알아보기 위해서 자동차에서 많이 사용되는 가솔린 기관의 작동 원리를 예를 들어보겠다. 먼저 기본 사이클은 흡입, 압축, 폭발, 배기 순으로 이루어진다. 흡입은 두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피스톤이 원통 속의 맨 위에 있을 때 시작하여 피스톤이 내려가.. 2023. 1. 30.
21세기 만능열쇠 반도체, 환경문제는? 21세기 만능열쇠 반도체, 환경문제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박재욱, 22기 이지원 [반도체 문명과 환경] [자료 1. 무어의 법칙] 출처 : 나무위키 “반도체 소자의 성능은 2년마다 2배 증가한다.” 인텔(Intel)의 설립자 고든 무어가 1975년에 발표한 무어의 법칙(Moore’s Law)은 현대 인류 문명의 핵심 소재로 자리잡은 반도체의 가파른 성장세를 잘 보여주는 한 마디이다. 반도체의 집적도와 성능이 향상될 때마다 컴퓨터, 노트북, 와이파이, 스마트폰, 전자시계 등의 전자제품이 등장했고, 그 결과 인간은 과거에 상상도 할 수 없었던 편리한 삶을 누리고 있다. 이렇게 반도체가 우리의 삶을 뒤바꿔놓으며 자신의 가치를 증명할 때, 눈에 띄게 성장한 또 다른 세력이 있다. 바로 환경오염이다... 2023. 1. 30.
눅눅한 종이 빨대, 이제는 안녕! 눅눅한 종이 빨대, 이제는 안녕!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곽서영 [식당, 카페 내 플라스틱 빨대 사용 전면 금지] [자료 1.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적용범위 가이드라인] 출처: 환경부 지난 11월 24일부터 일회용 종이컵 및 일회용 플라스틱 빨대 등이 일회용품 사용제한 품목에 새로 추가되어 집단급식소 및 식품접객업 매장 내에서 사용이 제한된다. 환경부에 따르면 1인 가구 증가로 인한 배달 및 소규모 구매 증가, 커피 문화 확산 등으로 일회용컵, 봉투, 접시 및 용기 등 일회용품 사용량이 증가하여 자원 낭비 및 생태계 등의 환경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일회용품 규제 배경으로 꼽았다. 뿐만 아니라 한 번 쓰고 버려지는 일회용품 생산에 소요되는 불필요한 자원 낭비 및 폐기물 처리비용 발생으로 경제적으로도.. 2023. 1. 30.
해조류? 해초류? 환경을 지키는 '바다숲' 해조류? 해초류? 환경을 지키는 '바다숲'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21기 이태환 [나사가 주목한 남해] 작년 4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전남 완도군과 해남군 지역 일대를 지구관측 위성으로 촬영한 사진을 공개하면서 한국의 해조류 양식과 섭취 문화에 주목했다. NASA는 “한국은 돌김(Pyropia)을 양식하는 세계 최대 수출국”이라고 소개하며 “전통적으로 산모가 출산 후 한 달 동안 미역국을 먹으며, 흔한 생일 음식으로도 소비된다”고 언급했다. NASA에서 한국의 남해안에 주목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크게 두 측면에서 설명해볼 수 있는데, 해조류 양식이 다른 식량 생산에 비해 담수나 비료가 적게 소모되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는 것이 첫 번째 이유였으며, 다른 이유는 ‘블루카본’의 관점에서 이산.. 2022. 12. 26.
리그닌 : 나를 골칫거리로 보지 마세요. 리그닌 : 나를 골칫거리로 보지 마세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서범석, 22기 정의희, 22기 홍세은 [리그닌, 넌 누구니?] 인류와 가장 오래전부터 함께해 온 재료는 무엇일까? 나무는 자연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멋스럽고 가공이 용이하다는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가구는 물론이고 종이, 휴지, 심지어는 바닥까지 목재 없는 일상은 상상하기 어렵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그만큼 버려지는 목재폐기물도 매년 꾸준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제는 폐기물도 고부가가치 소재로 변신하는 순환경제의 시대가 열린 만큼 목재폐기물에 대해서도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자료 1. 연간 목재폐기물 발생량] 출처: 한국목재재활용협회 일상에서 오래된 책이나 종이가.. 2022. 11. 28.
[Remake] 필요한 소비 습관, 친환경 마크 유무 [Remake] 필요한 소비 습관, 친환경 마크 유무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심찬우 13기 지현태 선배님의 "환경마크 제품 구매, 가장쉬운 친환경 기술투자." 기사의 Remake 버전입니다. 기사 작성에 도움을 주시고 배려해주신 지현태 선배님에게 감사드립니다.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친환경 문구, 표지] [자료 1. 헌혈기부권] 출처 : ⓒ 심찬우 주변 마트나 온라인에서 제품을 구매할 때 친환경 제품, 친환경 소재 등 '친환경'이라는 문구로 설명하는 제품들이 많다. 이번 8월 31일부터 9월 2일까지 열린 부산 ENTECH 행사에서 본 스타스테크 기업의 불가사리로 만든 제설제 역시 친환경 제품이다. 위 사진과 같이 헌혈기부권에서도 친환경 소재라고 소개를 하는 시점에서 친환경 마크가 얼마나 사회.. 2022. 10. 31.
전동킥보드, 미래의 친환경 교통수단이 될 수 있을까? 전동킥보드, 미래의 친환경 교통수단이 될 수 있을까? 대학생신재생에너지 기자단 21기 김수현, 박도현 요즘 길거리 특히 대학로 거리에서 킥보드를 타는 학생들을 쉽게 접할 수 있다. 킥보드는 우리나라에서만 쓰는 말이고 외국에서는 스쿠터(Scooter)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발을 올려놓고 타는 저배기량 오토바이를 스쿠터라고 부르고 있으니, 외국과 우리나라가 다른 용어를 쓰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처음에 킥보드는 어린이들이 타는 것으로 생각했으나, 배터리와 모터를 설치한 전동킥보드가 등장하면서 개인용 교통수단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또한 지역별 전동킥보드를 보급화하여 쉽게 이용할 수 있다. 공유 전동킥보드는 최근에 등장했지만 폭넓게 보급되면서 교통수단으로서 큰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자료1. 공유형 전.. 2022. 1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