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전기차-연료전지123 친환경 버스의 시대 ; 천연가스 버스? 이젠 전기버스! 친환경 버스의 시대 ; 천연가스 버스? 이젠 전기버스! [그림 1. CNG버스] 출처 : 나무위키 천연가스 버스 보급이 우리나라 대기환경 개선정책에 큰 획을 긋는 쾌거이고, 도심의 매연을 대폭 줄이는데 획기적으로 기여했다는 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를 증명하듯 요즘 도로 위를 달리고 있는 버스들을 보면 천연가스 버스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위 그림과 같이, 버스에 CNG 마크와 더불어 천연가스 버스라고 표시되어있음으로써 CNG 버스가 곧 천연가스 버스라는 것도 쉽게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천연가스 버스인 CNG 버스가 기존의 경유버스 보다 미세먼지 배출량이 적어 대기오염 감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전기버스는 무엇일까? 이는 쉽게 전기.. 2019. 3. 5. 전기자동차, 에너지산업과 미래자동차산업을 변화시키다 전기자동차, 에너지산업과 미래자동차산업을 변화시키다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고 있는 지금, 가장 눈에 띄는 산업은 무엇일까? 이는 바로, 우리 대한민국의 산업의 중심이자 뉴스에 항상 언급되고 있는 미래자동차 산업이다. 미래자동차산업에서도 가장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것은 전기자동차이다. 앞으로 몇 년간은 여전히 석유를 주요연료로 사용하는 내연기관 자동차가 주로 거리를 주행할 것이다. 그러나 이 흐름은 곧 뒤바뀔 것으로 모든 전문가들이 확신하고 있다. 특히 요즈음의 전기자동차 산업 성장세가 독보적이다. 전기자동차의 누적판매량이 2010년 12,500대에서 현재 126만 대로 급증했다. 이 수치는 가히 폭발적이라고 부를만하다. 전기자동차의 가장 큰 매력은 매연과 소음 등 각종 유해요소의 발생률이 현저히 줄어든다.. 2018. 4. 15. 리튬이온전지가 무엇이기에 주변에 자주 보이는 걸까? 리튬이온전지가 무엇이기에 주변에 자주 보이는 걸까? 휴대폰의 소형화, 테슬라의 전기자동차 개발,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등에 따라 배터리의 소형화와 동시에 높은 충전용량이 요구되고 있다. 전기자동차는 높은 충·방전 효율이 요구되며,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은 전력수급이 불안정하기에 배터리에 전력을 저장할 필요성이 있다. 배터리 저장기술이 향상되면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용이 더욱 효율적으로 될 것이다. 여기서 전력을 저장하기 위해 쓰이는 장치는 이차 전지(secondary cell)이다. 이차 전지는 충·방전이 여러 번 가능하기에 한 번 쓰고 버리는 일차 전지에 비해 경제적인 이점과 환경적인 이점을 둘 다 갖는다. 여러 이차전지가 개발되었지만 우리 주변에 흔히 보이는 리튬이온전지의 초기 모델 등 전반적.. 2018. 1. 14. 연료전지의 무궁무진함 연료전지의 무궁무진함 정부 정책, 환경오염, 기후변화 등 복합적인 문제에 따라 신재생에너지는 현재 ‘붐업’상태이다. 신재생에너지란,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아우르는 말로 태양광, 태양열, 풍력, 수력(소수력), 해양에너지, 지열, 수열, 폐기물에너지, 바이오에너지, 석탄가스화·액화, 수소에너지, 연료전지 총 12개의 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태양열, 태양광, 풍력, 지열에너지는 세계태양에너지엑스포를 비롯한 여러 엑스포에서 쉽게 접할 수 있었던 반면 연료전지, 수소에너지 등 신에너지는 재생에너지에 비해 산업시장이 크지 않기 때문에 생소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그렇다면 연료전지는 신재생에너지에서 어떤 역할을 담당하는지, 왜 신재생에너지로 분류했는지, 연료전지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지 하나씩 파헤쳐보자. ※ 신에너.. 2017. 11. 14. 전기차의 핵심부품 인버터 파헤치기! 전기차의 핵심부품 인버터 파헤치기! 4차 산업혁명과 더불어 신재생에너지 발전과 전기차 산업이 대두되고 있고, 환경 문제와도 결부되어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각종 정부 정책 및 기업들의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어떻게 하면 에너지 생산 및 소비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는 가운데 그중에서 핵심이 되는 부품은 전력을 변환시켜주는 장치인 인버터이다. 인버터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입력받아 자체 내에서 전압과 주파수를 가변하고 전동기에 공급해 사용자가 전동기 속도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장치이다. 쉽게 말해 사용자가 원하는 전력으로 상황에 맞게 변환시킬 수 있는 전력 변환 장치이다. [그림1. 인버터] [그림2. 인버터를 통한 제어] 출처 : LS산전 예를 들어.. 2017. 6. 7. 전기차의 수요를 늘려줄 Master&Slave 충전시스템 전기차의 수요를 늘려줄 Master&Slave 충전시스템 -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전기차(Electric vehicle, EV)산업은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소하는 친환경 기술에 대한 지원과 4차 산업혁명 기술 준비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주목을 받는 분야 중 하나가 되었다. 에너지와 관련된 산업은 초기 투자비용이 많이 들고 인프라가 아직 많이 부족한 상황이기에 정부의 정책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는 산업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기차 지원 정책은 산업의 발전을 위해 상당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지원 정책은 등장 배경에서 알 수 있듯이 인프라 구축 및 보급에 초점을 두고 있다. 특히, 전기 충전소의 보급은 필수적인데 우리나라는 보급이 아직 더딘 상황이다. 충전소 보급을 위해 정부에서는 충전소 설치에 들어가는 비.. 2017. 5. 11. 소유시대가 아닌 이제는 공유의 시대?! 서울디지털국가산업단지가 제시하는 새로운 전기자동차 사업의 모델은? 소유시대가 아닌 이제는 공유의 시대?! 서울디지털국가산업단지가 제시하는 새로운 전기자동차 사업의 모델은? [사진1. 2017년 2월 17일 금요일에 열린 제2회 G밸리 전기차와 스마트 그린시티 세미나] 현대인에게 ‘공유’라는 단어는 얼마 전 인기리에 종영한 드라마의 남자 주인공의 이름으로 더 익숙할지 모른다. 공유의 사전 뜻풀이를 보면 ‘공동으로 소유함’ 개인을 중시하는 개인주의, 물욕이 넘치는 현대사회에서 소유는 너무나 당연하다. 하지만 미래 학자들은 자동차도 개인의 소유가 아닌 공유의 시대가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그 중심에 놓인 것이 바로 ‘전기자동차’이다. 2017년 2월 17일 금요일, 제 2회 ‘G밸리 전기차와 스마트 그린시티 세미나’가 열렸다. 전 세계적인 전기자동차의 인기에 한국에서도 뒤.. 2017. 5. 5. [전기차충전기]전기자동차에 불어온 새로운 바람, 충전 방식의 진화 전기자동차에 불어온 새로운 바람, 충전 방식의 진화 [사진1. 테슬라의 충전기 '슈퍼차저 스테이션'의 모습] 출처 - '테슬라' 공식 홈페이지 자동차 시장에 신선한 충격을 가져온, 미국의 전기자동차 회사 테슬라가 충전기 업그레이드를 발표하며 다시 한번 혁명을 일으키려고 한다. 테슬라는 기존 자사의 충전기 ‘슈퍼차저 스테이션’의 업그레이드를 예고했다. 업그레이드 내용은 기존의 충전 속도보다 빠른 충전을 하는 것이다. 현재의 충전기는 1대당 135kW 이상을 지원하며 30분 충전에 약 270km까지 주행할 수 있다. 이번 업그레이드가 된다면 충전 속도는 2배 이상 빨라질 것이라는 게 테슬라의 입장이다. 이럴 경우 15분 만에 배터리 용량의 95%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질세라 BMW와 포드, 폭스바겐.. 2017. 5. 5. 이전 1 ··· 11 12 13 14 15 16 다음